✅ 동작구 관할 행정동 및 어원
행정동 | 어원 및 유래 |
---|---|
노량진1·2동 | ‘노량진(露梁津)’에서 유래. 조선시대 한강 나루터, ‘이슬 맺힌 다리’ 의미 |
상도1~4동 | ‘윗길’이라는 뜻. 언덕과 고갯길 지형에서 유래 |
흑석동 | ‘검은 돌’이라는 뜻. 한강변 흑암 지질에서 유래 |
사당1~5동 | ‘사당(祠堂)’은 조상 제사 공간. 실제 사당 있었던 지역 |
대방동 | 일제강점기 일본군 부대 ‘대방분견대’ 주둔지에서 유래 |
신대방1·2동 | ‘신대방(新大方)’은 새롭게 개발된 대방 지역에서 분리됨 |
본동 | ‘본래 마을’. 노량진 원마을로 가장 오래된 취락지 |
🏯 동작구 내 어원 및 사연이 깃든 지역・지명
지명 | 어원 및 사연 |
---|---|
동작동 | ‘동작진(銅雀津)’에서 유래. 조선시대 수운 교통 요지 |
정금마을 | 정씨 감사의 거주지 혹은 포방터 설화 전해짐 |
능고개 | 노승이 묘자리로 추천한 전설의 고개 |
아차고개 | 사육신 처형 소식을 듣고 선비가 ‘아차’ 탄식한 전설 |
동작충효길 | 현충원 |
📚 동작구와 관련된 역사 이야기
장소 | 역사적 이야기 |
---|---|
노량진 | 조선시대 조운 수운의 핵심지. 현대에는 수산시장, 공시촌으로 유명 |
국립서울현충원 |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을 모신 국가 추모 공간 |
사육신묘 |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 순절한 충신 여섯 명을 기리는 묘역 |
용양봉저정 | 정조가 사도세자 참배길에 머문 정자. 효심과 왕권 회복 상징 |
노량진 공시촌 | 과거 공시생의 메카. 최근엔 청년 창업과 공유주거지로 변화 중 |
Tags:
서울지명어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