✅ 서초구 관할 행정동 및 어원
행정동명 |
어원 및 유래 |
서초1~4동 |
‘서초(瑞草)’는 ‘상서로운 풀’을 뜻하며, 풍수 지리적으로 길한 지역이라는 의미 |
반포1~4동 |
‘반포(盤浦)’는 ‘물결이 도는 나루터’에서 유래. 조선시대 반포나루터 위치 |
잠원동 |
‘잠원(蠶院)’은 조선 왕실의 양잠장이 있던 곳에서 유래 |
방배본동, 방배1~4동 |
‘방배(方背)’는 ‘언덕 너머 마을’이라는 지형적 의미 |
양재1·2동 |
‘양재(良才)’는 ‘훌륭한 인재’ 또는 ‘좋은 재주’에서 유래 |
내곡동 |
‘내곡(內谷)’은 ‘안쪽 골짜기 마을’이라는 뜻. 외곽 산간 지역에서 유래 |
🏯 서초구 내 어원 및 사연이 깃든 지역・지명
지역명 |
사연 및 특징 |
서초동 |
초지였던 지역이 법조·문화 중심지로 개발됨. 예술의전당, 대법원 등 위치 |
반포동 |
한강변 나루터 지역. 현재는 한강조망 고급 아파트 밀집 지역 |
잠원동 |
조선시대 왕실 양잠장 소재. 지명에 ‘누에(잠)’의 의미 포함 |
방배동 |
예술가 밀집 주거지로 알려졌으며, 문화·예술 특화 지역으로 성장 |
양재동 |
자연환경 + 교육 + 교통 중심지. 양재시민의숲, AT센터 등 위치 |
내곡동 |
청계산 자락 위치. 현재는 고급 단독주택지, 외교지구로 개발 중 |
📚 서초구와 관련된 역사 이야기
주제 |
설명 |
반포나루 |
조선시대 대표적 한강 나루터 중 하나. 교통·상업 요충지 역할 |
잠원 |
조선 왕실 양잠장이 있던 곳으로, 국가 비단 생산 관리지 |
양재동 |
유학자들이 모여 학문을 논했던 전통 지역. 지금은 생태·생활 중심지 |
방배동 |
1960~70년대 예술인 거주 지역. 현재도 문화·예술 공간 유지 |
서초동 일대 |
과거 목장과 초지. 이후 서울 법조타운으로 계획 개발됨 |
서초구는 단순한 고급 주거지가 아닌,
한강 물류의 중심지 → 양잠과 목축 → 법조·문화 특구로 발전한 다층적 공간입니다.
지명 속에는 자연·산업·풍수·예술·행정의 요소가 함께 담겨 있어
서울의 역사적 전환과 도시계획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