✅ 금천구 관할 행정동 및 어원
행정동명 | 어원 설명 |
---|---|
가산동 | 1963년 ‘가리봉’과 ‘독산’을 합쳐 명명 (‘가’ + ‘산’) |
독산동 | 산봉우리에 나무가 없어 ‘벌거숭이 산(禿山)’에서 유래 |
시흥동 | 정조 19년(1795) ‘금천현’을 ‘시흥현’으로 개칭하며 생김 (‘새로운 번영’의 의미) |
🏯 금천구 내 어원 및 사연이 깃든 지명
지명 | 유래 및 의미 |
---|---|
금천(衿川) | 고려 태조 때 ‘금주’에서 유래, ‘옷깃처럼 유순한 물길’ 의미 |
시흥(始興) | ‘새로운 시작과 번영’을 기원한 조선 정조의 뜻 |
📚 금천구 역사이야기
시대 | 주요 내용 |
---|---|
고대~고려 | 백제→고구려 ‘잉벌노현’ → 신라 ‘곡양현’ → 고려 ‘금주’ |
조선시대 | 태종 때 ‘금천현’ → 정조 때 ‘시흥현’으로 개칭 |
근현대 | 1963년 서울 편입 → 1995년 ‘금천구’로 분리 신설 |
📚 금천구 주요 문화유산 및 명소
명소 | 특징 |
---|---|
호암산성 | 삼국 또는 통일신라 시기 축조된 방어 산성 |
호압사 | ‘호랑이 기운을 누른다’는 설화의 사찰 |
시흥행궁터 | 정조가 능행 중 머문 궁터, 800년 된 은행나무 존재 |
석구상 | 서울의 화재를 막기 위한 상징석, 관악산 화기를 누른다는 의미 |
금천 9경 | 호암산, 안양천, 오미생태공원, 시흥행궁, 금천폭포공원 등 |
📚 금천구와 관련된 설화・전설 모음
설화 주제 | 간략 설명 |
---|---|
호압사 창건설화 | 태종이 무학대사에게 호랑이 기운을 누르도록 명함 |
강감찬 출생 전설 | 금천이 고려 명장 강감찬의 고향이라는 설화 |
시흥행궁 은행나무 | 정조 능행 중 심었다는 800년 은행나무 전설 |
신랑각시바위 | 호암산 전쟁 전설, 신랑과 신부가 바위로 변함 |
Tags:
서울지명어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