✅ 은평구 관할 행정동 및 어원
행정동명 | 어원 요약 |
---|---|
녹번동 | ‘녹반(綠礬)’이 나는 고개에서 유래. 무악재 인근의 자연동에서 비롯됨. |
불광동 | 불광사에서 유래. 부처의 서광이 서린 지역으로, 사찰이 많음. |
갈현동 | 칡이 많아 ‘칡고개’라 불렸던 곳에서 유래. |
구산동 | 산세가 거북이 형상을 하고 있어 ‘거북산’이라 불림. |
대조동 | 대추나무가 많아 ‘대추나무 마을’에서 유래. |
응암동 | 백련산 기슭의 매가 앉은 바위에서 유래. |
역촌동 | 조선시대 연서역이 있어 ‘역말’이라 불렸던 데서 유래. |
신사동 | 옛날 새로 지은 절이 있어 ‘신사(新寺)’라 불림. |
증산동 | 시루봉 아래에 있어 ‘시루메’라 불렸으나, 시루의 ‘증(甑)’ 자를 비단 ‘증(繒)’으로 바꾸어 유래. |
수색동 | 물빛이 아름다워 ‘수색(水色)’이라 불림. |
진관동 | 조선시대 진관사에서 유래. 진관사는 고려시대에 창건된 사찰로,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함. |
🏯 은평구 내 어원 및 사연이 깃든 지역・지명
-
은평(恩平): 조선시대 한성부 북부의 연은방(延恩坊)과 상평방(常平坊)에서 각각 한 자씩 따서 명명됨.
-
구파발: 조선시대 파발마가 출발하던 곳으로, 통신의 요지였음.
-
불광사: 불광동의 이름 유래가 된 사찰로, 지역의 정신적 중심지 역할을 함.
📚 은평구와 관련된 역사 이야기
-
선사시대: 은평구 지역에서 석기시대 유물이 발견되어,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하였음을 보여줌.
-
삼국시대: 백제 때는 위례성, 신라시대에는 신주, 통일신라시대에는 한산주로 불림.
-
조선시대: 한성부 북부의 연은방과 상평방에 속하였으며, 교통의 요지로서 의주로가 지나감.
-
근현대: 1949년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었고, 1979년 서대문구에서 분구되어 은평구로 독립됨.
📚 은평구 주요 문화유산 정리
🏯 1. 진관사(津寬寺)
-
개요:
고려시대에 창건된 유서 깊은 사찰로, 은평구 진관동 북한산 기슭에 위치합니다.
조선시대에는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국가 평안을 비는 기도처로 기능했습니다.
특히, 2009년 **'진관사 태극기 은닉 사건'**의 태극기가 발굴되면서, 항일운동 유적지로도 주목받았습니다. -
문화재 지정:
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4호 (진관사 대웅전) -
특징:
국가 기도처, 항일운동 상징, 산사문화 체험 공간으로도 활용 중
⛩️ 2. 은평향교(恩平鄕校)
-
개요:
조선시대 지방교육기관이었던 향교로, 지역 유림의 교육과 제향을 담당했습니다.
원래는 연은방 지역(지금의 은평구) 근처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, 현재는 복원되어 은평구 문화재로 관리되고 있습니다. -
문화재 지정:
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32호 -
특징:
과거시험 재현 행사, 전통 성년례 등 문화체험 프로그램 운영
🏛️ 3. 구파발 독립운동가 묘역
-
개요:
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및 애국지사들의 묘역이 은평구 구파발 일대에 모여 있습니다.
이곳은 단순한 공동묘지가 아니라, 서북지방 출신 독립운동가들의 정신을 기리는 역사공간입니다. -
특징:
항일 독립운동과 관련된 교육 및 역사탐방 코스로 활용 가능
🏘️ 4. 북한산성 은평구 구간 (진관동 일대)
-
개요:
북한산성은 조선 숙종 때(1711년) 외침을 대비하기 위해 축조된 산성으로, 일부 구간이 은평구 진관동과 연결됩니다.
특히 진관사 주변은 성곽과 사찰이 조화를 이루며, 군사적·종교적 요충지였음을 보여줍니다. -
문화재 지정:
사적 제162호 (북한산성과 연결) -
특징:
성곽, 암문, 보루(전망대) 등 군사 유적 잔존. 북한산 둘레길 코스 포함.
🎨 5. 은평역사한옥박물관
-
개요:
은평구 진관동에 위치한 박물관으로, 은평 지역의 고대 유적(토기, 석기 등)과 전통 한옥문화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.
특별전시와 상설전시를 통해 은평의 생활사와 문화사를 소개합니다. -
특징:
은평의 옛 삶과 선사문화, 한옥문화 체험을 아우르는 복합 문화공간
🏞️ 6. 불광천과 문화예술거리
-
개요:
불광천은 은평구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생태하천입니다.
하천 주변에는 벽화마을, 작은 갤러리, 공연공간 등이 조성되어 있어 지역민과 방문객을 위한 문화예술 공간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. -
특징:
자연친화적 산책로 + 커뮤니티 아트 프로젝트 결합